생각해볼 문제...
작성자 정보
- 작성자 세지오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6,338
- 댓글 2
본문
1961년 미국의 아쉬라는 교수는 어떤 실험을 위해 자기 방에 일곱 사람을 모았다.
그는 방에 모인 사람들에게 자기가 그들을 상대로 지각에 관한 실험을 할 것이라고 알려주었다.
그런데 그 일곱 명 중에서 진짜 실험 대상이 되고 있는 사람은 한 사람뿐이었고,
나머지 여섯 명은 돈을 받고 교수를 도와주는 사람이었다.
그 보조자들의 역할은 진짜 피실험자가 실수를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었다.
그 실험이 이루어지는 방식은 이러했다.
피실험자가 마주보고 있는 벽에 직선 두 개를 그려 놓는다.
직선 하나는 길이가 25센티미터, 다른 하나는 30센티미터이다.
두 직선은 나란하기 때문에 30센티미터짜리가 더 길다는 것은 누가 보아도 명백하다.
아쉬 교수는 방에 모인 사람들 하나하나에게 어느 직선이 더 긴가 하고 묻는다.
여섯명의 보조자들은 한결같이 25센티미터짜리가 더 길다고 대답한다.
그리고 나서 마지막으로 진짜 피실험자에게 묻는다.
그런식으로 실험을 한 결과,
진짜 피실험자들 중에서 25센티미터짜리가 더 길다고 응답하는 경우가 60%에 달하였다.
또, 30센티미터짜리가 더 길다고 응답한 사람들도, 여섯 보조자들이 비웃으며 놀려대면,
그 중의 30%는 다수의 기세에 눌려 처음의 응답을 번복하였다.
아쉬 교수는 대학생과 교수 100여 명을 상대로 같은 실험을 했다.
남의 말을 쉽게 믿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는 사람들을 실험 대상으로 삼아 본 것이었다.
그 결과는 그들 중의 90%가 25센티미터짜리가 더 길다고 응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 놀라운 것은 피실험자들에게 그 실험의 의도가 무엇이었는지를 밝히면서 다른 여섯명은 교수와 미리 짜고 실험에 참여했다는 것을 피실험자들에게 알려주어도,
그들 중의 10%는 여전히 25센티미터짜리 직선이 더 길다고 고집을 부리는 것이었다.
또 어쩔 수 없이 자기들의 실수를 받아들인 사람들도 남들이 다 그러기에 자기도 따라 했다는 것을 순순히 인정하기보다는,
자기들의 시력이나 관찰 각도를 문제 삼으면서 갖가지 변명을 늘어놓더라는 것이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하늘풍경님의 댓글
- 하늘풍경
- 작성일
세이님의 댓글
- 세이
- 작성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