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abillity(사용자 편리성)는 누구의 고민인가?
작성자 정보
- 작성자 가가멜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4,721
- 댓글 7
본문
나는 웹사이트를 만드는 기획자이기 이전에 인터넷를 사용하는 사용자이다.
매번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웹 사이트를 오픈하고 보면 여러가지 면에서 후회가 된다.
그리고 나름되로 다시 한번 정리가 된다.
사용자 편리성에 대해 누구나 한번쯤 생각해 보았을 것입니다.
- 사용자를 고민하게 만들지 마라.
스티브 크록의 "상식이 통하는 웹사이트가 성공한다"라는 책에서 저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구절이다.
"고민하게 만들지 마라"
-> 고민 꺼리를 삭제하라. ->명확하게 전달해라 ->목표를 정해라."
저자가 전달하고자하는 부분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 한 문장에 대해서 고민해 보고 몸소 체험을 한다면 그 사이트의 절반은 성공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런 부분은 누구의 고민일까?
아마도 대부분은 기획자의 사이트 기획과 디자이너의 Navigation, 디자인 Layout, user interface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렀다면 실질적으로 디자이너의 역량 여하에 따라 Usabillity(사용자 편리성)가 결정 되는 것일까?
그렀지 않다면 기획자가 Usabillity(사용자 편리성)에 대해서 어느정도까지 손을 될 수 있을까요?
정답은 없습니다.
저의 생각은 기획자의 역량 80%정도와 디자이너의 역량이 20%정도라고 생각합니다.
계획된 웹 사이트 기획과 Creative한 디자이너의 역량이 어우러지면 어떤 사이트가 만들어 질까...웹사이트 자체는 나무랄데 없을거란 생각이 듭니다.
"경쟁자는 클릭한번의 거리에 있다" 스티븐 크룩의 책의 한 구절입니다.
Usabillity는 나와 경쟁자 중간에서 저울질를 하고 있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Usabillity(사용자 편리성)는 누구의 고민이라 생각합니까?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갈매기님의 댓글
- 갈매기
- 작성일
주유님의 댓글
- 주유
- 작성일
겨라니님의 댓글
- 겨라니
- 작성일
칼린님의 댓글
- 칼린
- 작성일
칼린님의 댓글
- 칼린
- 작성일
칼린님의 댓글
- 칼린
- 작성일
미야님의 댓글
- 미야
- 작성일